[1번지이슈] 북한, 또 미사일 도발…미국 "북, 핵사용시 정권 종말"<br /><br />■ 방송 : <br />■ 진행 : 정영빈, 이윤지 앵커<br />■ 출연 :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<br /><br />북한이 오늘 또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두 발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각종 북한 대외선전매체들의 호국훈련 비난이 잇따른 가운데 결국 훈련 마지막 날 실제 도발에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한편 미국 정부가 북한이 미국이나 동맹국에 핵 공격을 가하면 정권의 종말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과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제20차 당대회가 22일 마무리된 이후 첫 탄도미사일 도발인데요. 어떤 의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오늘까지 호국훈련이 진행되는데, 얼마 전 우리 군이 해병대의 대규모 합동상륙작전 훈련 모습을 이례적으로 공개했습니다. 대북 경고 메시지로 해석이 됐는데 이에 대한 반응이라고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최근 북한의 복합적인 도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, 특히나 단거리 탄도미사일 도발을 계속해서 이어가는 배경은 뭐라고 봐야겠습니까?<br /><br />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대규모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'비질런트 스톰'이 실시됩니다. 한미 군용기 약 240여 대가 참가한다고 하는 데 어떤 의미가 있는 훈련입니까?<br /><br /> 이번 훈련에 EA-18 그라울러 전자전기 또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-35B도 한반도에 전개하는데, 이례적이라는 평갑니다. 이들이 어떤 무기이고 또 이번 훈련에 참가하는 게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?<br /><br /> 이번 훈련에는 또 호주의 공중급유기도 참가한다고 합니다. 잠시 후에도 다루겠습니다만 미국의 핵 태세 보고서에서 북한과 중국, 러시아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과 일본, 호주 등 4자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이 언급되지 않았습니까? 같은 맥락으로 보면 되겠습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미국의 핵추진 항모 로널드 레이건함이 동해에 전개했을 때도 신경질적 반응을 보이면서 미사일 도발을 하지 않았습니까? 이번에도 추가 도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최근 일본 가고시마현 해상자위대 항공기지에 무인공격기 'MQ-9 리퍼'가 배치돼 임무를 시작했는데요. 지난 2020년 이라크에서 이란군 최고 실세였던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사령관을 표적 공습한 그 무인기죠? '침묵의 암살자'라는 별명도 무시무시한데요?<br /><br /> MQ-9 리퍼가 인도·태평양 지역에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 아닙니까?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미국 국방부가 핵 정책 기조 등이 담긴 종합 보고서를 내놨는데요. 북한이 미국이나 동맹 또는 파트너에게 핵공격을 감행하면 정권의 종말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?<br /><br /> 미국은 또, 핵 분쟁을 억지하기 위해 전략폭격기와 핵무기 전진 배치를 포함한 핵전력을 탄력적으로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북한의 비핵 위협에도 핵 사용 가능성을 전격 시사한 것이라고 봐야겠습니까?<br /><br /> 미국은 이 핵태세 보고서에서 동북아 안보의 핵심은 미국과 동맹의 강력해진 '확장억제 공조'라고 강조했는데요. 특히 한미 양국이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과 대북 압박에 관해 구체적 시나리오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?<br /><br /> 잇따르는 북한 도발에 맞서 전술핵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일부 여권 주장에 대해 전임 한미연합사령관들이 "한반도 전술핵 재배치가 부적절하다"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. 북한이 선제 핵 타격 조건까지 내건 상황인 만큼 한반도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지적인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다음 6일로 예정된 일본 해상자위대 70주년 국제 관함식에 해군을 참석시키기로 했습니다. 한국의 일본 관함식 참가는 7년 만인데 그동안은 왜 참석하지 않았고 이번에는 왜 참석하게 된 건가요?<br /><br /> 그런데 관함식에서는 주빈국 함정을 향해서 경례하게 돼 있지 않습니까? 일본 해군기가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욱일기 형상을 하고 있다 보니까 우리 해군이 욱일기에 경례하는 모습은 국민 정서상 맞지 않다는 비판도 상당한데요?<br /><br /> 강제동원 배상문제 등 과거사 문제도 여전하고요. 2018년 해상 초계기 갈등 등 현안에도 불구하고 관함식 참가를 결정한 건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됩니다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